Korean Med Educ Rev > Volume 12(1); 2010 > Article
인문사회의학의 의사국가시험 도입에 대한 인식도 조사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related-curriculum in Korean medical schools, and suggesting the courses of study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 examination, which can be included i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Medical Practitioners. Methods: We analyzed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related courses which are offered in Korean medical schools, and a survey was conducted by medical school professors and students and medical journalists. In the survey, the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related courses were divided into 8 parts,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duty, necessity of education, necessity of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each part using a seven-point scale.

Results

A total of 207 medical school professors and students and 9 medical journal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were similar for the importance of duty and necessity of education of each part, but those for the necessity of evaluation were different. - As a result, there seems to be a gap between the importance of duty 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each course. Medical journalists and students group answered differently on the necessity of evaluation of each course was also reserved.

Conclusion

It is necessarily recommended to include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related courses such as medical ethics, self-improvement and doctors' social responsibilities i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Medical Practitioners.

서 론

의학교육의 질적인 성장은 의료 서비스의 질적 성장을 선도하고 있거나 가역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과거 단순히 의료술기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의료 서비스에 대해서 좋은 평가를 받던 시대는 이미 지난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환자에 대한 전인적 접근이 당연시 되고 있다. 의학교육에서 인문사회의학의 역할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것도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한 사례의 하나로 이해되고 있다[6].
그동안 많은 의과대학들이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의사의 전 문성과 사회성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에 큰 관심을 가지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구체적으로, 2000년 이후 의료계는 인문사 회의학 교육과정을 도입하기 위하여 그것의 개념, 교육시간, 교 육방법, 교육자료 등에 관한 논의를 시작하였으며, 교육과정 개 편을 통해 이를 실천하는 노력을 보여 왔다[15].
이와 같이 새로운 교육과정 개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 중의 하나는 인문사회의학과 관련된 교과목을 신설하거나 확대 한 것이었다. 국내 의과대학에서 개설하고 있는 인문사회의학과 관련된 교과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있는데 의료윤리, 의사학, 의료사회학, 의학과 문학, 의료선교, 의료인류학, 의사소통법, 리더십과 경영, 의학적 의사결정법, 프로페셔널리즘, 의사역 할 등이 예이며, 이러한 교과목들은 의료인들이 임상술기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인문사회적 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15]. 즉, 인문사회의학과 관련 된 교육과정을 통해서 국내에서 양성된 의료 인력이 국제적 교 류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고, 의료인의 이타적 사고와 도덕성을 강화하며, 따뜻한 마음으로 환자를 전인적으로 돌보는 인본주의적 자세를 실천하도록 교육하고자 하는 것이다[2]. 이와 같이 의학교육 측면에서 인문사회의학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잘 인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의료 인력에 대한 자격인정을 가늠하는 의사국가시험에는 아직 인문사회의학에 관련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인문사회의학 교과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 기가 매우 어려운 형편이다. 무릇 교육은 평가를 통해 교육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인식에 대해서 다른 의견을 제시할 교육전문가는 없기 때문이다.
의사국가시험은 의사들이 갖추어야 하는 종합적 지식과 자질을 평가하고자 시행되고 있으므로 인문사회의학적 소양을 평가하는 항목을 포함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수 있으나[3] 관 련 내용을 의사국가시험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검토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문사회의학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국내 의과대학에서 개설하고 있는 인문사회의학 관련 교육과정을 근거로 하여, 의사국시에 포함할 수 있는 인문사회의학 영역의 시험내용과 방법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사전조사를 통해 국내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 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목표와 영역별 주제를 바탕으로(Table I), 의사국시에서의 인문사회의학 관련문항에 대한 필요성 및 평가방법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Table II 와 같이 조사문항을 설계하였다.
Table I.
Educational Goals and Themes of Each Domain in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 Curriculum.
Educational goals Subdivision Main themes
1. Understanding humans and pain Understanding humans Dignity of life, human rights, aging, human personality/motivation/behavior/per-ception, character building
Understanding the nature of pain The nature of pain, illness and pain, means to alleviate pain
2. Understanding ethics and medical ethics Understanding ethics Main concepts of ethics, transition of ethical charter, ethics and culture, philo-sophical arguments about life and death
Understanding medical ethics History and principle of medical ethics, main issue of bioethics and decision making, medical research ethics, distribution of medical resources
3. Analyzing and developing oneself Objective analysis of self Self identity, objective separation of self and others
Continuous self improvement and management Writing, time/stress management, self-led education
4.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Understanding medical science Transition of medical science, dissect pathology, medical sociology, anthropol-ogy, philosophy, Informatics, hippocratic oath, concept and meaning of health
Understanding adjacent fields Alternative medicine, oriental medicine, nursing science, pharmacology, medical engineering, medical science of East and West
Understanding religion and culture Medicine and culture(music, literature, movie, fine arts), medicine and religion
Understan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Globalization of medicine, medical journalism, medical economics, medicine and politics, medicine and society
5.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others Communication skill Communication theory, teaching skill,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
Relationship with patients Communication with patients(explanation, notification, interview), helping and comforting terminal patients
Relationship with co-workers Understanding the role of medical staff and maintaining professional relationship
6. Professionality of doctor Social responsibility of doctor Professional ethics, understanding ideology of medicine, ethical and devotional medical conduct
Leadership of doctor Leadership, decision making, managing conflict, maintaining partnership
Table II.
Questionnaire Items
Educational goals Subdivision Main themes Response method
1. Understanding humans and pain 1-1. Understanding humans 7 Evaluative necessity: Scales

Evaluative method: Choices
1-2. Understanding the nature of pain 3
2. Understanding ethics and medical ethics 2-1. Understanding ethics 1
2-2. Understanding medical ethics 7
3. Analyzing and developing oneself 3-1. Objective analysis of self 4
3-2. Continuous self improvement and management 5
4.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4-1. Understanding medical science 5
4-2. Understanding adjacent fields 6
4-3. Understanding religion and culture 5
4-4. Understan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4
5.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others 5-1. Communication skill 4
5-2. Relationship with patients 8
5-3. Relationship with co-workers 3
6. Professionality of doctor 6-1. Social responsibility of doctor 6
6-2. Leadership of doctor 4
7. Exam items ratio Nothing Nothing Choices
8. Problems and solution Nothing Nothing Description
설문지는 8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직무 중요도, 교육 필요도, 평가 필요도 및 평가방법을 묻는 ‘1. 인간과 고통에 대한 이해’, ‘2. 윤리와 의료윤리에 이해’, ‘3. 자신에 대한 분석과 개발’, ‘4. 의료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 ‘5.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6. 의사의 직업전문성’ 의 6개 영역과, 5지 선택형의 단일 문항인 ‘7. 출제문항 비율’, 그리고 서술형의 ‘8. 문제점과 해결방안’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단일항목으로 구성된 7영역과 8영역을 제외 한 1영역에서 6영역까지는 하위항목으로서 중항목 및 소항목을 구성하여 소항목 기준으로 문항의 수는 모두 72개로 구성하였고, 각 항목에서는 직무 중요도, 교육 필요도, 평가 필요도에 대한 응답으로 7점 척도의 의해 각각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고, 평가 방법에 대해서는 4지 선택형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Table II 와 같이 설계된 문항으로 인문사회의학에 관한 교육 내용을 의사국가시험에 반영하는 것에 대해서 의과대학 구성원인 교수, 학생, 전공의, 그리고 의학계 관련기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41개 의과대학에 우편으로 430부를 발송하여 207부를 회수하였으며(회수율 48%), 의학계 전문기자들에게는 전자메일을 보내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명으로부터 회신을 받아 총 216부에 대해서 통계분석을 하였다(Table III).
Table III.
Number of Replied Questionnaires regarding Occupation.
Occupation Number (Percentile, %)
Professor 158 (73.1)
Resident 28 (12.9)
Student 18 (8.4)
Medical pressman 9 (4.2)
Others 3 (1.4)
Total 216 (100.0)

결 과

가. 인문사회의학 내용의 직무 중요도, 교육 필요도, 평 가 필요도

인문사회의학은 환자와 원활한 소통을 이루고, 사회적 책무를 성실히 수행할 수 있는 의사를 양성하는 데 있어 큰 기여를 할 것 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인문사회의학을 의사국시에 반영할 경우 그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인문사회의학 관련문항에 대한 직무중요도, 교육필요도, 평가필요도를 분석하였다.
Table IV 는 인문사회의학 분야에서 6개의 대항목과 각각의 중항목에 대한 반응을 7점법으로 조사하였을 때 그 점수를 나타낸 것이다. 직무중요도의 경우, ‘3. 자신에 대한 분석과 개발’ 및 ‘5.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에 관한 대항목 점수가 5.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4. 의료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 에 관한 대항목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나 4.8점이었다. 인문 사회의학의 교육필요도에 대해서는 ‘2. 윤리와 의료윤리의 이해’ 및 ‘5.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대항목에서 가장 높은 5.5 점이 나왔고, ‘4. 의료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 는 4.6점으로 가장 낮은 반응점수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직무중요도 및 교육필요도 측면에서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평가필요도에 대한 반응은 다소 다른 반응을 보였다. 즉, 평가필요도 측면에서 ‘2. 윤리와 의료윤리의 이해’ 항목은 직무중요도, 교육필요도와 유사하게 높은 반응점수를 보여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5.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항목에 대해서는 직무와 교육의 측면에서는 필요성이 높다고 보았으나 평가의 필요성은 다소 낮은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이 직무중요도와 교육필요도의 두 측면과 평가필요도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발견되었다. 한편, 중항목 관점에서 ‘5.2 환자와의 관계’ 항목은 직무중요도 5.9점, 교육필요도 5.7점, 평가필요도 5.9점 등 모든 측면에서 가장 높은 반응점수를 보였다.
Table IV.
Job Importance, Educational Necessity, and Evaluative Necessity for Educational Goals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 Curriculum.
Educational goals Subdivision Job
Importance
Educational
Necessity
Evaluative
Necssity
1. Understanding humans and pain Understanding humans 5.5 5.5 5.4 5.3 4.8 4.8
Understanding the nature of pain 5.5 5.3 4.7
2. Understanding ethics and medical ethics Understanding ethics 5.6 5.7 5.5 5.5 4.9 5.0
Understanding medical ethics 5.7 5.5 5.0
3. Analyzing and developing oneself Objective analysis of self 5.7 5.8 5.3 5.4 4.4 4.5
Continuous self improvement and management 5.5 4.6 2.3
4.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Understanding medical science 5.0 4.8 4.9 4.6 4.1 3.8
Understanding adjacent fields 4.9 4.8 3.9
Understanding religion and culture 4.2 4.0 3.3
Understan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4.9 4.7 3.8
5.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others Communication skill 5.7 5.8 5.5 5.5 4.9 4.8
Relationship with patients 5.9 5.7 5.9
Relationship with co-workers 5.7 5.2 4.2
6. Professionality of doctor Social responsibility of doctor 5.6 5.5 5.4 5.3 4.5 4.4
Leadership of doctor 5.4 5.1 4.3
Table V 는 인문사회의학 분야에 대한 직무중요도, 교육필요도, 평가필요도를 설문조사하였을 때 응답자의 직업에 따른 집단별 반응점수를 나타낸 것이다. 전반적으로, 기초의학 교수와 의료계 기자 집단에서 인문사회의학이 직무에 중요한 영향을 주어서 관련 교육과 평가가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전공의와 학생 집단에서는 인문사회의학의 중요성을 다소 과소평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관련 교육과 평가의 필요성을 낮게 평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초의학 교수들은 직무중요도에 대해서 ‘3. 자신에 대한 분석과 개발’ 항목에서 6.3점을 주었으며, 의료계 기자들은 ‘5.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항목에서 6.3점을 주었다. 인문사회의학 분야의 교육필요도에 대해서는 기초의학 교수들은 ‘2. 윤리와 의료윤리의 이해’ 항목에 6.0점을 주어 교육이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 선택하였으며, 의료계 기자들은 ‘5.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에 대한 교육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여 6.2점을 주었다. 그런데, 임상의학 교수들은 인문사회의학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대체로 높지 않은 점수를 주고 있으나, ‘2. 윤리와 의료윤리의 이해’ 항목에서 직무 중요도와 평가필요도에 대해 각각 6.1점과 5.5점을 주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와 같이, 인문사회의학의 직무중요도, 교육필요도, 평가필요도에 대해서 교육과정에 있는 의대생과 전공의보다는 의대 교수들이 높은 점수를 주었으며, 특히 의료계 기자들은 더 높은 점수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V.
Job Importance, Educational Necessity, and Evaluative Necessity for Educational Goals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 Curriculum by Study Subjects.
Educational goals & Study subjects Educational goals 1. Understanding humans and pain 2. Understanding ethics and medical ethics 3. Analyzing and developing oneself 4.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5.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others 6. Professionality of doctor
Job importance professor 5.6 5.7 6.0 4.9 5.8 5.4
    – clinical 5.1 6.1 5.3 4.9 6.0 5.4
    – basic 5.9 5.3 6.3 4.7 5.6 5.6
resident 4.7 4.6 4.7 4.4 4.7 4.6
student 4.6 4.6 4.5 4.6 4.6 4.6
Educational necessity professor 5.1 5.6 5.7 4.6 5.7 5.2
    – clinical 5.1 5.0 5.2 5.0 5.1 4.9
    – basic 5.5 6.0 5.6 4.2 4.9 5.6
resident 4.4 4.3 4.3 4.1 4.4 4.4
student 4.5 4.2 4.2 4.2 4.4 4.5
Evaluative necessity professor 4.9 5.1 4.7 3.8 4.9 4.2
    – clinical 4.2 5.5 4.2 4.1 4.4 4.6
    – basic 5.4 4.5 4.8 3.5 5.2 4.2
resident 4.1 4.0 4.0 3.7 4.1 4.0
student 4.2 4.1 4.0 3.8 4.0 3.9

나. 인문사회의학 내용의 평가방법

의사국가시험에서 인문사회의학 분야의 문항이 포함되는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평가방법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Table VI 은 그에 대한 조사결과로서 직업에 따른 집단별 인식도와 전체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인문사회의학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필기시험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제 2영역과 제 4영역 즉, ‘2. 윤리와 의료윤리의 이해’ 및 ‘4. 의료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는 70% 이상의 응답이 필기시험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1. 인간과 고통의 이해’, ‘3. 자신에 대한 분석과 개발’, ‘6. 의사의 전문직업성’의 3개 영역에 대해서도 50% 이상의 응답이 필기시험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5. 다른 사람과의 관계 유지’ 영역의 경우, 필기시험이 37.3, 필기 실기 병행이 35.8%로 서로 비슷한 수준의 응답률을 보였다. 한편, 평가방법에 대해서 집단별 응답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VI.
The Perception on the Evaluation Method in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 Curriculum.
Educational goals & Study subject Evaluation
method
written practical
+practical
written etc no
response
1. Understanding humans and pain professor 69.1 6.5 21.1 2.0 1.3
    – clinical 69.6 5.7 19.5 1.2 4.0
    – basic 65.0 6.7 21.5 2.8 4.0
resident 69.7 5.5 19.7 1.8 3.3
student 70.8 4.6 19.5 2.0 3.1
average 67.3 6.2 20.5 2.0 4.0
2. Understanding ethics and medical ethics professor 74.7 5.6 12.9 2.2 5.2
    – clinical 72.9 6.0 18.0 1.3 1.8
    – basic 73.5 2.4 15.0 1.7 7.4
resident 74.2 4.8 15.9 1.9 3.2
student 75.7 6.2 13.8 0.9 3.4
average 73.2 4.2 16.5 1.5 4.6
3. Analyzing and developing oneself professor 50.6 15.7 18.6 5.5 9.6
    – clinical 51.8 14.7 16.3 3.3 13.9
    – basic 52.8 11.7 19.1 8.7 7.7
resident 55.4 14.9 18.6 5.5 5.6
student 56.2 11.9 25.1 2.2 4.9
average 52.3 13.2 17.7 6.0 10.8
4.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and society professor 71.6 5.4 0.4 3.4 19.2
    – clinical 71.5 4.7 0.3 4.5 19.0
    – basic 69.7 6.1 0.0 3.1 21.2
resident 72.5 5.8 0.1 3.4 18.2
student 70.3 5.5 2.2 4.5 17.5
average 70.6 5.4 0.1 3.8 20.1
5.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others professor 38.1 20.5 32.6 2.9 5.9
    – clinical 36.6 19.1 34.8 2.0 7.5
    – basic 38.0 19.3 36.8 1.8 4.1
resident 37.5 20.1 32.6 2.9 6.9
student 35.4 18.4 37.1 0.8 8.3
average 37.3 19.2 35.8 1.9 5.8
6. Professionality of doctor professor 55.9 9.9 21.2 4.1 8.9
    – clinical 55.0 11.3 21.0 3.9 8.8
    – basic 56.0 9.9 21.8 2.7 9.6
resident 56.9 10.9 24.2 4.1 3.9
student 55.7 10.1 25.9 4.1 4.2
average 55.5 10.6 21.4 3.3 9.2
구체적으로, 직무중요도와 교육필요도의 점수가 5.0이 넘는 소항목은 49개 항목으로 분석되었다(Table VII). 이 중에서 평가 필요도의 점수가 5.0 이상인 경우는 모두 14개 소항목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에 대한 평가방법으로서 필기, 실기, 필기 및 실기 병행, 기타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를 Table V 에 요약하였다. 평가필요도가 5점 이상으로 높은 14개의 소항목 중에서 ‘2.2.3. 윤리적 지침에 따라 생명유지 장치의 유지, 중단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를 비롯한 9개 소항목은 필기 평가가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나, ‘5.2.3. 환자가 자신의 임상정보(과거력, 검진 결과 등)를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를 포함하는 5개 소항목은 필기 및 실기 병행 평가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Table VII.
14 Items which got over 5 Points in the Evaluative Necessity.
number items evaluative
necessity
(mean)
evaluative
methods
1 One should be able to make a decision whether to maintain the life support system or not on ethical basis. 5.6 written
2 One should be able to explain the main issue and standard of bioethic problem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bioethic technologies. 5.4 written
3 One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tient and a doctor besides the duty of a doctor to explain and inform patients based on the rights and duties of a patient. 5.2 written
4 One should be able to describe a patient's clinical information(medical history, checkup results, etc.) that the patient can understand himself more accurately. 5.2 written+ practical
5 One should be able to describe the core of research ethics of medicine(Declaration of Helsinki, IRB, etc.). . 5.1 written
6 One should be able to tell effective communications and ineffective communication and explain factors for the effective communication. 5.1 written+ practical
7 One should be able to describe a patient about treatment process and benefits and risks in that process in order to share the treatment plan with the patient. 5.1 written+ practical
8 One should be able to tell the patient breaking or bad news effectively. 5.1 written+ practical
9 One should be able to explain the meaning and dignity of the life of humans. 5.0 written
10 One should be able to describe the agedness of humans and the mental state of aged people. 5.0 written
11 One should be able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illnesses and pains. 5.0 written
12 One should be equipped with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when benefits of a patient are against those of a hospital or a professional group. 5.0 written
13 One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how to help a patient with the terminal illness to die with dignity, and express felicitous consolation to the family. 5.0 written+ practical
14 One should be able to write clinical data honestly and not to distort the data for personal purposes. 5.0 written
마지막으로, 의사국가시험에 인문사회의학 문항을 포함하고자 할 때, 적정 비율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Table VIII 에 나타내었다. 인문사회의학 문항수는 전체 문항수 대비 3~4% 가 적합하다는 응답이 216명 중에서 66명으로 나타나 30.4%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1~2%가 적합하다는 응답이 52명 즉, 24.0%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유사한 비율인 23.1%의 응답이 5~6%의 문항수 비율이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Table VIII.
The Response Status about the Ratio of Questions about Medical Humanities and Sociology in National License Test for Physicians.
ratio of questions responded numbers
(persons)
response rate
(%)
1~2% 52 24.0
3~4% 66 30.4
5~6% 50 23.1
7~8% 24 11.0
etc. 23 10.5
no response 1 0
total 216 100

고 찰

본 연구는 의사국가시험의 이해관계자 집단 중 4개 집단(교수, 학생, 전공의, 의료전문지 기자)을 대상으로 인문사회의학 문항출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인문사회의학의 영역에 해당하는 교육주제를 나열하고 각각의 주제에 대해 직무 중요도와 교육필요도, 평가필요도를 7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가장 적합한 평가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 같은 접근방법을 채택한 이유는 의사로서의 직무수행에 중요하다고 하여 모두 교육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며 교육할 필요가 있는 항목이라도 모두 평가할 필요는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서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지식, 기술, 태도, 역량 등 각 항목의 특성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평가방법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의 인식조사라는 측면에서 직접적인 정책결정의 도구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첫째, 의사국가시험에 의료윤리, 프로페셔널리즘 등 의사로서의 태도, 인성, 가치관에 관한 항목을 추가할 필요성에 대해 폭넓은 공감대가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둘째, 의사국가시험에 의료윤리, 프로페셔널리즘 등 의사로서의 태도, 가치관에 관한 항목을 추가할 경우 출제의 우선순위, 타 당한 평가방법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비교적 새로운 교육영역인 PDS 관련 교육에 있어서 각 대학이 여러 교육주제들의 중요도, 우선순위, 평가방법, 평가방법에 준하는 교육방법 등을 결정하는 준거로 활용할 수 있다.
의사국가시험에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경우 우선적으로 평가 필요도가 높은 상위 14개 항목을 중심으로 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각 문항 개발 시에는 응답자들이 제시한 가장 타당한 평가방법을 활용할 경우 소기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며, 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실적 지식이나 이론을 묻는 문항보다는 환자관리 능력을 평가하는 사례 속에서 윤리적 및 법률적 판단을 묻는 문항을 주로 출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의사국가시험의 개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첫째, 본 연구가 다루고자 한 모든 교육내용을 의사국가시험에 출제할 수는 없으므로 평가필요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항목을 중심으로 출제를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
둘째, 태도, 인성, 가치관 영역은 실제 사례와 동떨어진 단순 지식을 묻는 방식으로는 타당하게 평가할 수 없으므로 현재 필기시험에서 출제되는 문제해결 문항에 태도, 가치관에 관련된 의사결정을 묻는 질문을 추가하거나 2009년도 도입 예정인 실기 시험의 환자-의사관계 문항에 포함하는 방식을 우선적으로 고려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태도, 인성, 가치관 영역에 대한 일회적 평가의 타당도는 높지 않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당국이 학생의 성장과정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Narrative Evaluation’ 을 하 는 것이 더 중요한 평가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PDS 관련 교육이 여러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교육내용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대학 간 편차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고지기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를 통해 직무중요도, 교육필요도, 평가필요도, 타당한 평가방법 등을 규명하였으나 의료윤리, 프로페셔널리즘 등 태도와 가치관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으므로 각 세부영역의 타당한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후속연구와 예비출제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본 연구는 의료계와 관련된 내부전문가 의견조사라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의사의 가치관, 태도에 대해서는 보다 폭 넓은 이해관계자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영역과 관련하여 환자와 일반국민, 여타 의료전문직에 대한 폭넓은 접근을 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향후 우리나라 41개 모든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 대학원 교육과정에 인문사회의학 과목을 다양화하면서도 표준 화함으로써 의사국가시험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외국과 같이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모든 의학교육기관들은 각각의 특성은 유지하되 어느 정도의 인문사회의학교육의 공통분모를 공유하여 모든 의사들의 인문사회의학적 소양을 일정한 수준으로 향상시켜야하며, 이와 같은 방법이 사회가 요구하는 의사상에 조금이라도 더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fund from the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REFERENCES

References
Ahn, D.S. (2000). Doctoring Curriculum, The Korean Council of Medical College Deans.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ed.); Doctors and Society. The 8th Joint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Proceedings,. 3–8.
Chung, M.H. (1996). Basic Layout for Developing Programs for Humanity, The Korean Council for Medical College Deans,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ed.), How to deal with “Humanity” Education in Medical College?. The 4th Joint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Proceedings,. 33–41.
Chung, S.H. (2003). Course of Action for Strengthening License Systems for Medical Practitioners: Necessary- Sufficient Conditions, Proceedings of Discussion for Strengthening License Systems for Enhancing Quality of Medical Practitioners.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nd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71–88.
Downie, R.S., Hendry, R.A., Macaughton, R.J., & Smith, B.H. (1997);Humanizing Medicine: A special study module. Medical Education, 31(4), 276–280.
crossref pmid
Faulkner, L.R., & McCurdy, R. (2000);Teaching medical student social responsibility: The right thing to do. Academic Medicine, 75(4), 346–350.
crossref pmid
Jeon, W.T. (1999). Research Methodologies for Social Medical Sciences, Yonsei University Press..
Kang, H.K. (1999). Humanity and social science: Courses of action for studies and education. Journal of Korean Council of University Education, 100:20–24.
Kang, Y.A. (2000).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Humanit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Council of University Education, 103:10–18.
Kim, I.S. (1997). Educational Purposes of Medical Colleges and Demand of Society: Education for 2000's The Korean Council of Medical College Deans.
Kim, Y.I. (2000). Educational Perspectives on Patients, Doctors, and Society, Doctors and Society. The Korean Council of Medical College Deans.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Education(ed.). The 8th Joint Medical Education Conference Proceedings,. 49–61.
Lee, S.N. (2000). Why do we need “Humanity”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Humanity Research Youngnam University Human Science Research Institute, 38:27–32.
Lee, Y.S. (2003). Comparisons of Local and Foreign Licensing Systems for Medical Practitioners,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nd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Proceedings of Discussion for Strengthening License Systems for Enhancing Quality of Medical Practitioners,. 1–46.
Min, S.K. (2001);Challenge for 21st Century Medical Education: Humanity Education and Behavior Studies. Medical Behavior Science, 1(1), 67–84.
Park, K.M. (2000). Studies on Financial Coordination Network for Encouraging Humanities, The 2nd Policies on Humanities Symposium: Course of Action for Motivating Humanities Education.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e Korean Council of Medical College Deans. (2007). Educational Goals of Medical College, The Korean Council of Medical College Deans..


Editorial Offic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50-1 Yonsei-ro, Seodaemun-gu, Seoul 03722, Korea
Tel: +82-2-2228-2514   Fax: +82-2-364-5450   E-mail: kmer@yuhs.ac                

Copyright © 2024 b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