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Med Educ Rev > Volume 11(2); 2009 > Article
의과대학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가능성 탐색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pt and content of teaching portfolios and to consider the use of teaching portfolios in medical education. The concept of teaching portfolios has several implications and has been used in multiple approaches in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e ten foreign universities chosen for this study employ teaching portfolios in their professorship and teaching achievement evaluation as a means of deciding promotions or incentivizing employees. However, domestic universities have not yet implemented this system. It is propos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programs, teaching portfolios should be used much more frequently than syllabus. Medical school professors should apply what is called “Copernicus's Thinking” to their teaching preparations.

서 론

최근 여러 대학들은‘역량강화’라는 이름아래 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수립하고 교육의 질적 향상과 수업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학생들은 각종 자격시험과 인증제도 그리고 국제화에 따른 영어능력시험을 준비하는 데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할애하고 있고, 대학들은 교수의 교육활동에 대해 업적 평가를 도입하여 연구 등의 평가 점수에 따른 성과급제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교수자의 교수 능력은 학생에 의한 수업평가에 의해 평가 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이 수업이 끝나고 난 후에 수업 전체에 대해 평가를 실시하기 때문에 수업이 진행되는 학기 동안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며, 어떻게 변화를 일으켜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채수진 & 임기영, 2007).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몇 년 전부터 학기 중에 수업의 만족도를 평가하는 중간 평가 방식의 수업평가를 채택하는 대학이 늘고 있지만, 수업평가와 관련하여‘교수방법에 관한 실제적 인정보를 어떻게 제공해줄 것인지’,‘ 평가결과에 대한 보상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교수학습 방법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등의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교수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최근 티칭 포트폴리오(teaching portfolio) 개념이 부각되고 있다(심미 자, 2005; 최미나 외, 2005; 이은화 & 심미자, 2007; 조용개, 2009).
티칭 포트폴리오는 1970년대에 캐나다 대학교수협의회가 대학의 행정가들에게 교수자들의 승진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수업의 실제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교수 관련 서류모음(teaching dossier)이라는 지침서를 발간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스탠포드대학에서 교사평가 프로젝트를 활용하면서 미국의 많은 대학에서 교수자의 전문성 향상과 교수활동에 대한 평가의 대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대학 교수들의 수업 전문성이 중요한 정책 의제로 부상됨에 따라 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이은화, 심미자, 2007).
외국 대학들은 티칭 포트폴리오를 교수자들의 업적을 문서화 하거나 전문적 성장을 유도하는 자아성찰적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과정으로 권장하며, 교육업적평가와 맞물려 조직화되고 목표 지향적인 증거자료들의 모음으로 임용 예정이거나 강의를 하고 있는 교수자들에 대한 실용적인 평가방법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활용하고 있다(신윤호 & 이희원, 2008).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몇몇 대학들이 수업 향상을 위한 도구나 우수 교수상 선정을 위한 자료에 티칭 포트폴리오를 부분적으로 도입하고 있지만(길양숙, 2006; 조용개, 2008), 아직 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일반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외국 대학의 경우처럼 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용이 보편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교수업적평가 시스템이 외국 대학과 다르다는 것과 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티칭 포트폴리오 작성에 투자되는 시간과 노력에 비해 실질적인 효과에 대한 확신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신윤호, 2007; 심미자, 2008), 특히 교수자 개인적인 작업의 결과물인 티칭 포트폴리오를 누가, 어떤 기준으로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점이 가장 큰 걸림돌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의과대학에서 티칭 포트폴리오가 필요한가’라는 물음에서부터 출발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티칭 포트폴리오에 대 한 국내외 논문을 바탕으로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념, 성격, 그리고 활용 방안 등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 필요성과 그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론

1. 티칭 포트폴리오란 무엇인가?

가.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념

일반적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는 교수들의 교육과 강의에 관한 모든 문서나 자료들을 포함한다. 학자들에 따라서 또는 대학이나 국가에 따라서 그 범위와 정의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공통적인 특징을 보면, 티칭 포트폴리오는 기존 수업계획서 (course syllabus)가 가지고 있는 내용보다 확장된 개념이라는 것이다(신윤호, 2008). 즉, 수업계획서는 수업활동에 필요한 정 보와 자료를 기준으로 그 항목들이 10~15여개의 대략적인 수업 정보들로 구성되지만 티칭 포트폴리오는 전반적인 수업활동에 대한 결과물의 수집 또는 스크랩이 아니라 제시된 자료들에 대한 분석과 자아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수업 계획서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Seldin(1997)은 티칭 포트폴리오는 교수자들이 자신들의 학문적인 노력이나 성과, 교수 능력 등을 문서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수자들의 교육업적에 대한 양적, 질적 성과를 포함한다고 정의하였고, Kaplan(1998)은 티칭 포트폴리오란 교수맥락 속에 있는 서류들로 된 교수업적 기록물로 교수(teaching) 속에 교수 자의 학문적 성취에 대한 증거가 포함한다고 하였다. Wolf & Diez(1998)는 교수자의 학생, 동료, 또는 커뮤니티에 대한 교사의 노력, 기술, 능력, 성취, 기여도 등을 보여줄 수 있는 교수자의 업무에서의 몇몇 측면에 대한 모음집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티칭 포트폴리오를 교수자의 교수업적을 보여줄 수 있는 사실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자료들의 모음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으며, 더 나아가 Shulman(1994)과 같이 티칭 포트폴리오를 학생의 업무에 대한 샘플로 검증된 코칭 또는 멘토링의 업적들을 주의 깊게 수집한 것과 전적으로 성찰적 글쓰기, 숙고, 심각한 토의를 통해서만 실현된다고 규정하면서 티칭 포트폴리오가 단편적인 교수업적에 대한 모음을 넘어서 자기 성찰과 학생 및 동료와 같은 타인과의 교류를 통한 집단 성찰을 강조하는 학자도 있다.
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를 정리해 볼 때, 티칭 포트폴리오는 교수자의 교수활동에 대한 능력, 노력, 성취 를 보여줄 수 있는 교수 업적의 실증적 자료들의 모음이자, 교수 활동에 대해 깊이 있게 숙고하고 반성해보는 자기성찰과 학생 및 동료 등 타인들과의 집단성찰을 통한 진술이 포함된 교수활동에 대한 총체적이고 실증적인 데이터베이스로서 단순히 교수 활동 관련 서류들을 모아 놓은 문서들의 집합체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나. 티칭 포트폴리오의 유형

티칭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된다(정명화, 2005; 조용개 2008). 첫째는 학습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학습과정을 통 해 자아성찰과 주인의식을 고취시키고 전문성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둘째는 평가를 목적으로 교수자의 수업 효과성에 대한 정보와 수업 조직을 제시하며 형식적인 평가과정을 위한 상황에서 활용된다. 셋째는 임용과 구직을 위한 포트폴리오로 교수자의 직위 부여 적합성에 대한 정보를 임용권자에게 제공하며 취업을 위해 활용된다. 티칭 포트폴리오의 유형은 이와 같이 목적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유형에 따라 포함되는 자료와 내용이 다르고 학자들에 따라 유형 구분에도 차이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Bullock과 Hawk(2001)이 제시한 것으로, 그들은 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 목적에 따라 과정(process) 포트폴리오, 산출(product) 포트폴리오, 전시(showcase) 포트폴리오로 나누고, 각각의 포트폴리오에 포함되어야 할 자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과정 포트폴리오는 일정기간 내에 한 개인의 업적을 시간 순서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야에서 개인의 성장을 평가하는 것으로 주로 특정 스킬이나 지식발달에 초점을 두는 교수자들이 활용한다. 학습에 대한 자료들을 통합하기 위한 목적 으로 교수자 자신과 관리자가 보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는 학습에서의 핸드아웃, 연간 수업계획, 학습자들의 학업, 학습과제에 대한 평가기준, 학습과정에 대한 학습자 설문, 각 학습단원을 마친 후의 자기평가, 교수자의 생각 등이 포함된다.
둘째, 산출 포트폴리오는 목표로 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발전시켜온 증거들의 구체적인 집합체로 프로젝트와 유사하다. 이 포트폴리오는 개인적인 특별한 목적이나 의도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기준을 가지고 교수자들 간에 비교, 평가가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새로운 수업의 학문적 접근을 지원하고 각 교수자들이 어떻게 참여하는가를 자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에는 규칙과 절차, 일지, 면담, 회의 자료 등이 포함된다.
셋째, 전시 포트폴리오는 개인이 선택한 자신의 업적 중 가장 우수한 결과물들의 모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취업 면접이나 우수 수업상(best teaching award) 선정에 활용되기도 한다. 이 포트폴리오의 목적은 교수자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야에서 자 신의 뛰어난 성과들을 제시하는 데에 있으며, 작성자가 자신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을 선택하고 조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는 수업계획 샘플, 교실관리 계획, 수업평가, 졸업증명서, 수업 비디오테이프 등이 포함된다.

2.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는 크게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수업활동을 문서화한 증거자료이고 다른 하나는 이러한 증거자료에 대한 자기성찰이다. 이 두 범주는 교수자들에게 수업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평가하게 함으로써 교 수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와 자기성찰 과정에서 수업활동 에 대한 사고와 개념을 명확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Seldin(2004)에 의하면, 티칭 포트폴리오는 크게 자신에 의해 수집되는 자료, 타인으로부터 제시되는 자료, 교수학습 결과물 등 세 개의 범주로 구분된다.
첫째, 자신에 의해 수집되는 자료에는 교수자 개인의 교육철학, 교수전략, 교수목적, 교수방법들에 대한 기술, 수업계획서, 수업혁신과 효과성에 대한 평가, 교육과정의 개선에 관한 기술, 수업 향상을 위한 연구, 수업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 수업 관련 활동을 통해 인정받은 사항들, 평가방법과 교과 목표 간의 명확한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평가도구 등이 포함된다.
둘째, 타인으로부터 제시되는 자료에는 학생들의 강의평가 결과, 수업을 참관한 동료교수자 의견, 과제 및 실행에 대한 평가, 논문이나 발표자료, 교수교육자료, 수업에 대한 졸업생 진술, 수업활동과 관련된 수상경력 등이 포함된다.
셋째, 교수학습 결과물에는 학습자들의 사전 및 사후 시험 점수, 학생들의 레포트, 현자보고서, 시험 워크북, 실험기록, 학생 들의 학습향상도 기록, 채점 사례, 교수지도하에 발표한 학생논문, 학생 및 취업지도, 학습과제에 대한 코멘트 등 교수자 개인의 수업 효과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조용개, 2009).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Table I 과 같다.
Table I.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1. 자신의 교육철학 평소자신의 교육철학, 교육소신
자신의 전공, 교수방법에 대한 노하우 등
2. 수업교과목 및 환경 해당학기 교과목, 교수업무 중 교육의 비중
전공분야의 담당 교과목 비중 및 교육방향
수강생들의 특성 및 학습 유형 등
3. 수업목표 및 방법, 전략 명세적이며 구체적인 행동목표
수업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방법 및 전략 등
4. 수업관련 자료 수업계획서, 수업자료 목록, 과제 주제 및 목록
주요 수업활동 기록 등
5. 수업개선을 위한 노력 수업개선을 위한 워크숍, 세미나 참석 기록
수업에 활용한 수업 개선 방법
수업 내용 및 방법 개선의 구체적인 예 등
6. 수업평가 자료 수업평가 결과 요약
수업관찰 자료, 수업 비디오 등
7. 학생들의 학습결과물 과제물, 평가문제 및 답안지
8. 수업목표에 대한 성찰 전체적인 수업목표, 구현방법 및 결과, 수업평가 종합분석
다른 교과목과의 연관성, 교과목과 관련된 장단기 효과 검토 등
9. 수업에 대한 성과 수업의 효율성 및 개선에 대해 인정받은 사항
10. 부록 수업참고 자료(수업계획서, 유인물, 과제 등)

3. 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용 방안

지금까지 교수들의 수업 활동이 주로 수업계획서와 주교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점에 비추어볼 때 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일은 교육철학적인 측면에서 코페르니쿠스적 사고 전환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독립적으로 개발하여 활용하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따라서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육의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안해 낸 방법 중에 하나가 티칭 포트폴리오와 교육업적평가 및 각종 인센티브제도와 연계하는 것이다.
2006년도에 발간된‘한국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제도 개선 보고서’에 의하면(교육인적자원부, 2006), 일부 국립대학 또는 유명 사립대학을 중심으로 티칭 포트폴리오가 활용되고 있으며, 공학교육인증(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을 준비하는 여러 공과대학이 인증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 공과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 나타난 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용 실태 조사 내용을 살펴보면 Table II 와 같다.
Table II.
국내 대학들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실태(n=68)
내 용 빈도 비 고
모든 교과과정에 티칭 포트폴리오를 제도적 으로 할용하고 있는 대상 5 교육업적평가에 적용
티칭 포트폴리오를 공학교육인증 해당교과 만 적용하고 있는 대학 19 교육업적평가에 부분 적용
티칭 포트폴리오를 적용하고 있으나 교수 개개인의 자율성에 따라서 인정하는 대학 7 성과급에 부분 적용
티칭 포트폴리오를 교수업적평가와 연계를 목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대학 16
전통적인 수업계획안 만을 유지하고 있는 대학 21
외국 유명 대학들은 이미 우리나라의 수업계획서 이상으로 모든 교과에서 담당교수들의 기본적인 임무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있으며 교육업적평가와 이에 따른 재임용, 승진 및 승급 등 다양한 제도와 연계하여 활용하고 있다.
외국 10개 대학의 티칭 포트폴리오 실태를 조사한 신윤호의 연구(2007)에 의하면, 조사 대상 10개 대학 모두가 교수학습과 정상 기본적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동료 및 위원회 평가와 보상 제도를 함께 활용하고 있었다. 보상제도로는 재임 용과 진급 및 기타 인센티브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 10개 대학의 티칭 포트폴리오와 교수업적 평가와의 연계 내용은 Table III 과 같다.
Table III.
외국 대학의 티칭 포트폴리오와 교수업적 평가 연계
대학명 본인평가 학생평가 동료 및 위원회평가 보상제도
The Hong Kong PU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위원회 강의실방문 재임용
진급
U. of Cornell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위원회 강의실 방문
학생설문조사
티칭포트폴리오
외부평가의뢰
재임용
진급
정년보장
인센티브
UC Berkeley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그룹인터뷰
졸업생 설문조사
티칭 포트폴리오
강의실 방문
상패수여
진급
U. of Michigan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티칭 포트폴리오
강의실 방문
재임용
진급
Washington State U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티칭 포트폴리오
강의실 방문
졸업생/고용주참여
재임용
진급
인센티브
U. of Queensland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티칭 포트폴리오
강의실 방문
학생대표 참여
재임용
진급
Australian National U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티칭 포트폴리오
강의실 방문
재임용
진급
신규임용
인센티브
U. of Sydney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티칭 포트폴리오
학생대표참여
학생, 교원, 학과장 인터뷰
진급
인센티브
U. of Monash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티칭 포트폴리오
강의실 방문
진급
정년보장
New South Wales 티칭포트폴리오 학기말 설문조사 티칭 포트폴리오
강의실 방문
진급
인센티브

논의 및 결론

최근 지식기반사회의 도래로 인해 야기된 지식의 양적 질적 변화는 대학의 교수와 학생 모두에게 교수학습에 대한 재인식을 요구하고 있다. 교수와 학생의 교수학습의 향상을 지원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는 가운데 최근 주목 받고 있는 것이 ‘포트폴리오’도입이다. 이때‘포트폴리오’라고 하면, 학생들이 자기 자신이 쓰거나 만든 작품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모아둔 서류철을 이용하여 평가하거나 자신의 학습 능력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김선, 2003). 아닌게 아니라 통상적으로 포트폴리오는 곧 학습 포트폴리오(learning portfolio)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본 논문은 학습자의 측면이 아닌 교수자의 측면에서 교수(teaching)활동과 관련된 체계적인 관리 및 깊이 있는 성찰과 교수 능력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에 주목하고 의과대학에서 티칭 포트폴리오가 활용될 수 있 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일차적인 작업으로 지금까지 연구된 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그 개념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의과대학에서 티칭 포트폴리오는 가능한가? 많은 의과대학이 교수의 업적평가와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염두에 두고 있지만 실제로 시행하기까지는 시간과 엄청난 노력이 요구될 것이다. 티칭 포트폴리오를 도입한 지 20년이 넘은 호주에서조차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저항의식을 여러 논문에서 찾 아볼 수 있다. 예를 들면, Leggtt & Bunker(2006)는 교수의 질을 입증하고 교수 능력을 향상하고자 제안된 티칭 포트폴리오가 교수 자신보다는 관리자들을 위해 시행되고 있으며 나아가 대학 조직의 신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한다. Coens & Jenkin(2000)는 대학을 공장 생산 라인과 비유하면서 티칭 포트폴리오를 복잡성과 질적인 요소를 무시하고 흠집 없는 균일한 품질을 양산해내는 공장과 다를 바 없다고 맹렬히 비판하였다. Buckridge(2007)는 교육업적평가와 맞물려 이루어지고 있는 티칭 포트폴리오 도입을‘닭과 달걀’상황에 비유하면서, 티칭 포트폴리오가 교수와 기관이 각각 의도하는 목적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끊임없이 제기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문제는 대학 문화의 본질적인 성격으로부터 기인된 어쩔 수 없는 일이라 고 말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공학교육인증제도의 예를 들 수 있는데, 티칭 포트폴리오를 의무사항으로 권고하고 있는 국내의 공학교육인 증제도의 경우 도입 10년째 접어들면서 공과대학 교수들의 문제 제기가 잇따르고 있다(교수신문, 2009.11.16자). 문제들의 내용을 보면, 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확한 이해의 부족과 동시에 개발절차에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고 개발 기준이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정의 개념 등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티칭 포트폴리오의 작업이 까다롭고 시간 소모적이 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티칭 포트폴리오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티칭 포트폴리오의 교육적 의미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고 활용하는 가장 큰 의의는 자신의 교수 활용에 대해 성찰하고, 동료나 학생들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해 교육목적과 교수전 략을 더욱 분명히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티칭 포트폴리오는 교수자로서의 책임, 교육철학 및 업적을 문서화하는 것으로 교육에 대한 질적 관찰 및 교수활동 성장과 효과성에 대한 산물들을 성 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티칭 포트폴리오가 교수자의 교육성과를 전달하는 문서와 자료들의 완전한 집합체는 아니지만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고 활용하는 것은 교수자로 하여금 자신의 수업에 대해 좀 더 비판적으로 생각해 볼 기회와 그것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낼 기회, 동료들과 조언자들, 그리고 학생들과 교육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티칭 포트폴리오는 그것 자체로 교수활용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는 교수들의 교육개선 노력을 업적평가로 인정해 주는 대학이 거의 없다. 교수 승진이나 업 적평가는 SCI 논문, 과제 수주 등 연구업적에 주로 초점이 맞추 어져 왔을 뿐이다. 앞으로 의과대학은 교육의 영역에 보다 더 조명을 비출 필요가 있다. 만약 의과대학 교수들이 티칭 포트폴리오를 통해‘나는 무엇이 중요하고 왜 그런 방식으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해 한번이라도 성찰할 수 있다면 티칭 포트폴리오 도입은 성공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교수신문. (2009). 공학교육인증제, 지칠대로 지친 공대교수들, 11월 16일자..
교육인적자원부. (2006). 한국대학교육 혁신을 위한 제도개선, 교 육인적자원부 보고서,. 35–47.
길양숙. (2006). 수업 포트폴리오의 의미와 작성법-우수 수업상 수상 후보 교원을 위한 수업포트폴리오 작성 가이드-, 강 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7–14.
김선. (2003);포트폴리오 평가와 의학교육에서의 적용. 한국의학 교육, 15(2), 73–81.
신윤호. (2007);교육 포트폴리오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실과교 육연구, 13(1), 79–98.
신윤호, 이희원. (2008);공학교육에서 교수학습포트폴리오의 개 념과 활용방안., 11(1), 75–82.
심미자. (2005);디지털 티칭 포트폴리오:예비교사 교육 프로그 램 활용 가능성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8(2), 51–79.
심미자. (2008). 교수력 향상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대학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근화세미나 자료집,. 75–86.
이은화, 심미자. (2007);대학 교수자에 있어 티칭 포트폴리오 작 성 경험의 의미. 교육과정연구, 25(2), 121–146.
정명화. (2005). Teaching Portfolio의 이론적 탐색. 동의과학대학 논문집, 30:1–17.
조용개. (2008);대학교육에서의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적용 방안. 교수학습연구, 3(1), 1–17.
조용개. (2009);대학 수업의 질적 개선 및 평가에 필요한 티칭 포 트폴리오 구성요소 탐색. 교육공학연구, 25(1), 1–27.
채수진, 임기영. (2007);국내 의과대학 강좌평가제 운영 실태 분 석. 한국의학교육, 19(2), 133–142.
최미나, 노혜란, 김명숙. (2005);대학교육에서 e-교수학습 포트 폴리오 개념적 프레임웍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1(2), 147–165.
Buckridge, M. (2008);Teaching portfolios: their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for Academic Development, 13(2), 117–127.
crossref
Bullock, A.A., ... Hawk, P.P. (2001). Developing a teaching portfolio: A guide for preservice and practicing teacher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Coens, T., ... Jenkins, M. (2000). Abolishing performance appraisals: why they backfire and what to do instead San Franciso, CA: Barrett-Koehler.
Kaplan, M. (1998). The teaching portfolio. CRLT Occasional Paper, 11:1–8.
Leggett, M., & Bunker, A. (2006);Teaching portfolios and university culture.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30(3), 269–282.
crossref
Seldin, P. (1997). The Teaching Portfolio: A practical guide to improved performance and promotion/tenure decisions (2nd edition). Bolton, MA: Anker Publishing Company, Inc..
Seldin, P. (2004). The Teaching Portfolio: A practical guide to improved performance and promotion/tenure decisions (3rd edition). Bolton, MA: Anker Publishing Company, Inc..
Shulman, L.S. (1994). Portfolio in historical perspective, Presentation at the Portfolio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Conference, Jan. MA: Cambridge..
Wolf, K.P., & Diez, M. (1998). Teaching portfolios: purposes and possibilitie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25:9–22.


Editorial Offic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50-1 Yonsei-ro, Seodaemun-gu, Seoul 03722, Korea
Tel: +82-2-2228-2514   Fax: +82-2-364-5450   E-mail: kmer@yuhs.ac                

Copyright © 2024 b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veloped in M2PI